국내 의료기기 생산액 TOP 품목은 어떤 것이 있을까?
엘리스 ·
대한민국 의료기기 생산액 TOP10 품목, 5년간의 변화 한눈에 보기!
대한민국 의료기기 시장, 어떻게 변했을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한민국 의료기기 시장의 ‘핫한’ 품목 TOP10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어떻게 바뀌었는지, 그리고 그 안에 숨겨진 흥미로운 트렌드는 무엇인지 쉽게 풀어드릴게요.
1. 코로나19가 바꾼 판도, 체외진단 시약의 급부상!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면서 의료기기 시장에도 큰 변화가 찾아왔어요.
바로 ‘고위험성 감염체 진단용 체외진단 시약(IVD)’이 생산액 1위로 치고 올라온 것!
-
2020년: 고위험성감염체유전자검사시약이 1,426,706백만 원으로 1위
-
2021~2022년: 고위험성감염체면역검사시약이 연달아 1위, 2022년엔 무려 3,031,444백만 원으로 최고치 기록
이처럼 체외진단 시약은 코로나19로 인한 진단 수요 폭증에 힘입어 단숨에 시장의 중심에 섰답니다.
하지만 2023년, 코로나19가 진정되면서 진단키트 수요가 줄어들자 생산액도 크게 감소했어요.
2. 치과용 임플란트, 꾸준한 강자!
체외진단 시약이 치고 올라오는 동안에도, ‘치과용 임플란트’는 변함없이 상위권을 지켰어요.
- 2019년: 1,362,164백만 원(1위)
- 2020~2022년: 2위 유지, 생산액 꾸준히 증가
- 2023년: 2,636,577백만 원으로 다시 1위 탈환!
특히 치과용 임플란트 관련 품목(치과용임플란트고정체, 치과용임플란트상부구조물, 치과용임플란트시술기구)은 TOP10에 꾸준히 포함될 만큼, 치과산업이 국내 의료기기 시장의 든든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3. 초음파 영상진단장치, 안정적인 스테디셀러
‘범용 초음파 영상진단장치’도 매년 2~5위에 오르며 안정적인 수요를 보여줍니다.
- 2019년: 470,607백만 원(2위)
- 2023년: 596,735백만 원(2위)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 그리고 빠르고 정확한 진단에 대한 수요 덕분에 초음파 장비는 앞으로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4. 조직수복용 생체재료 & 소프트콘택트렌즈 등, 숨은 강자들
- 조직수복용 생체재료: 2019년 3위(243,548백만 원)에서 2023년 3위(501,725백만 원)로 성장하며, 필러 등 미용·재건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어요.
- 매일 착용 소프트 콘택트렌즈: 2019년 4위(241,248백만 원), 2023년 6위(270,169백만 원)로 꾸준히 TOP10에 이름을 올리며, K-뷰티와 함께 인기 상승 중입니다.
5. 코로나19 이후, 다시 재편되는 시장
2023년에는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요가 줄면서 체외진단 시약의 생산액이 80% 넘게 감소했고,
반대로 치과용 임플란트, 생체재료, 콘택트렌즈 등 전통적 강세 품목들이 다시 상위권에 복귀했어요.
한눈에 보는 5년간 핵심 트렌드
연도 | 1위 품목 | 생산액(백만원) | 특징 |
---|---|---|---|
2019 | 치과용 임플란트 | 1,362,164 | 임플란트의 독주 |
2020 | 고위험성감염체유전자검사시약 | 1,426,706 | 코로나19 진단키트의 대약진 |
2021 | 고위험성감염체면역검사시약 | 2,012,460 | 진단시약 전성시대 |
2022 | 고위험성감염체면역검사시약 | 3,031,444 | 진단시약 생산액 최고치 |
2023 | 치과용 임플란트 | 2,636,577 | 임플란트의 왕좌 탈환 |
결론: 외부 환경이 시장을 바꾼다!
이처럼 대한민국 의료기기 시장은 팬데믹 같은 외부 요인에 따라 특정 품목의 생산액과 순위가 크게 변동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치과용 임플란트, 초음파 영상진단장치, 콘택트렌즈 등은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며 시장의 중심을 지키고 있죠.
앞으로도 고령화, 디지털 헬스케어, 미용 의료기기 등 다양한 트렌드가 시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됩니다.
여러분도 의료기기 시장의 변화에 관심을 가져보세요!